건축공학 취업, 지방직 9급 건축공무원 도전기
대한민국에서 60세까지 정년이 보장되는 직업 중 유일한 직업이 공무원이라는 말을 들었으며, 박봉이라도 꾸준한 고용보장이 되는 직업이며, 건축공학을 전공한 저로써 가장 화이트칼라에 가까운 직업이 건축공무원이라는 판단하에 도전하게 되었습니다. 건축공무원 도전기 건축공학을 전공하여 취업하기 위해 공기업 인턴, 건설사 입사함에도 원하는 삶이 아님을 느끼고, 2016년도에 퇴사를 하고, 그때 당시 공무원 붐이 일어나, 건축공무원을 준비하였다. 준비기간은 2016년 11월부터 2017년 4월에 있는 부산시 지방직 시험이었다. 준비기간은 4개월 정도인데, 결과는 탈락이었다. 지방직 공무원은 성적순이었으며, 면접을 보았지만, 지방직 커트라인 밖에 있었던 것 같다. 가채점을 잘못하여 당연히 합격인 줄 알았지만, 아쉽게도..
2023. 3. 3.
건설현장 건축기사의 하루
건축공학도로서 건설사에 취업하는 것은 무덤이다. 건설사에서의 일, 조직문화 등이 현시대와는 맞지 않기 때문이다. 시공 방법 및 기술 등은 뛰어나지만, 건설업계 전체의 문화는 아직 그대로인 것 같다. 또한, 아파트 공사를 예를 들면, 하는 일과 공정 등은 거의 비슷하거나, 건설사마다 특징이 있는 반면, 월급은 건설사별로 천차만별이다. 그래서 굳이 건설사에 입사하겠다고 하면 건설사 중에서 가장 돈을 많이 주는 곳으로 입사를 하되, 금액적인 부분의 목표를 세워, 건설사는 하루빨리 퇴사하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 건축기사 발령 필자는 2015년에 드디어 취업에 성공하였다. 취업한 곳은 중견 건설사였다. 나름 이름 있는 건설사였지만, 과거에 비해 자금사정이 힘들어진 건설사였다. 하지만, 우여곡절 끝에 최종합격을 하..
2023. 2. 27.
건축공학 취업 준비, 건축공학 전과 및 선택
저는 건축공학을 전공하였으며, 지금 현재 건축 관련 업을 하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이 글은 제가 건축공학을 전공하며 살아온 지난 삶을 되돌아보며, 그때 느꼈던 감정이나, 취업준비를 하며 느낀 점, 그리고 건축 관련 업을 하면서 느낀 점 등을 되새겨 보기 위해 적게 되었습니다. 많이 부족하더라도, 건축공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그리고 건축 쪽으로 취업을 하시려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제 글이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필자는 05학번으로, 지방 사립대, 4년제에 공대생으로 입학하였으며, 최초 분반은 이름순으로 지정되어 화학공학이었습니다. 군대를 전역한 후, 진로를 고심하고 있는 중, 동아리 선배의 권유로 건축설계실 모임에 나가면서 '건축'이라는 단어를 알게 되었습니다. 건축공학으로 전과하기 건축 설계실 활동..
2022. 1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