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공학을 전공하는 건축공학인으로서 건축기사는 모든 건축인들이 건축공학 생활의 꽃이라 여길 만큼 중요한 자격증입니다. 학부 때 힘들거나 귀찮다는 이유로, 자격 취득을 미루다가 나중에 나이 들어서 시험 보러 오시는 분들도 많이 보았으니, 반드시 학부생 때 취득하시길 바랍니다. 저는 2012년 2차 실기에서 합격하였습니다. 2012년 1차는 필기는 합격하였으나, 실기가 역대급으로 어려워 저희 과에서도 1~2명 정도가 합격하고 상당수의 인원들이 탈락하여 합격률이 저조했습니다. 아무쪼록 건축기사는 다른 안전기사 등과 달리 작업형이 없으므로, 중간 정도의 난이도를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건축기사 필기는 5지선다형으로 5과목 평균 60점 이상이고, 과락(40점) 미만인 과목이 없으면 필기는 합격할 수 있습니다.
건축기사 필기시험
필기는 과년도 기출문제를 중점적으로 먼저 풀어보시는 것을 추천드리며, 회독을 통하여 익숙해지는 것이 관건입니다. 2회~3회 하시다 보면 보기만 봐도 답을 찾으실 수 있을 실 겁니다. 그런 다음, 필기과년도 문제집 앞부분에 부록으로 요약집이 수록되어 있는 책이 있는데, 그것을 훑어보시면서 부족한 이론을 채워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은 기출문제를 회독함으로써 빈도 높은 문제를 암기하는 식으로, 뼈대를 잡은 후, 요약집을 통하여 부족한 이론을 정리하시는 게 중요합니다.
건축기사 실기시험
실기시험은 건축시공 전반에 관한 주관식 답을 적는 것으로, 건축구조역학 등 건축시공 전반에 걸친 문제들이 집중적으로 나오므로, 준비를 단단히 하셔야 합니다. 제가 시험 봤던 2012년 1차 실기시험은 정말 난이도가 높아서, 애를 먹었지만, 너무 조급해하지 마시고, 천천히 준비하시면 합격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필기시험과 실기시험 모두 평균 60점 이상을 획득하시면 자격증이 나오게 됩니다. 제가 건설사에 있을 때 기사 자격수당이 3만원이었습니다. 비록 수당은 작지만, 건축공학도로서 건축기사는 4년의 학부생활의 꽃이라 할 수 있는 기사 자격증이라고 생각합니다. 짧지만, 너무 오래전의 일이기도 하여, 최대한 간략하게 후기를 남겨보았습니다.
건축기사 합격소감
건축공학을 전공하여 건축기사 자격증 취득은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학부생일 때 무슨 수를 써서라도 반드시 자격 취득을 위해 노력하셔야 합니다. 토목이나 다른 기사보다는 난이도가 높지 않은 편이라, 반드시 취득하시길 바랍니다.
'경제적 자유 > 건축공학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고층 건축물의 현황과 미래 수업을 듣고서 (0) | 2023.02.22 |
---|---|
건축공학 취업준비 및 스펙정리 (0) | 2023.02.05 |
건축공학 취업 준비, 토익 시험 준비방법 (0) | 2022.12.02 |
건축공학 취업 준비, 건축공학 편입 준비 및 정보 (0) | 2022.11.04 |
건축공학 취업 준비, 건축공학 전과 및 선택 (0) | 2022.11.03 |
댓글